목차
1. 완강기 정의
2. 완강기 설치기준
3. 요약
4. 관련법규
완강기 정의
완강기는 천천히 하강하는 기구라는 뜻이다.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완강기는 소방시설 중 피난기구에 해당된다. 완강기의 설치 대상을 알기 위해선 법적 피난기구 설치 대상을 먼저 알고 그다음 설치 및 관리에 대한 화재안전기준을 알아야 한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별표 1] 소방시설
피난기구 |
1) 피난사다리 2) 구조대 3) 완강기 4) 간이완강기 5) 그 밖에 화재안전기준으로 정하는 것 |
완강기 설치기준
피난기구 설치대상 ■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ㆍ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소방시설법 시행령 제11조 관련) 피난기구는 특정소방대상물(소방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대상물 공동주택 등 30가지 용도의 대상물)의 모든 층에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예외조항 다만, 피난층(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층), 지상 1층, 지상 2층(노유자 시설 중 피난층이 아닌 지상 1층과 피난층이 아닌 지상 2층은 제외한다), 층수가 11층 이상인 층과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지하가 중 터널 및 지하구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
피난기구 설치관리 기준 ■ 피난기구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301 제5조 관련) 피난기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개수 이상을 설치해야 한다. 1. 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그 층의 용도 및 바닥면적을 고려하여 1 개 이상 설치하며, 아파트등(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층 이상인 주택)에 있어서는 각 세대마다 한 개 이상 설치할 것 2. 제1호에 따라 설치한 피난기구 외에 숙박시설(휴양콘도미니엄을 제외한다)의 경우에는 추가로 객실마다 완강기 또는 둘 이상의 간이완강기를 설치할 것 |
■ 안전시설 등의 설치 유지 기준(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별표2) 4층 이하 영업장의 비상구(발코니 또는 부속실)에는 피난기구를 화재안전성능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피난기구 기술기준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301)
표 2.1.1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별로 그에 적응하는 종류의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2.1.2 피난기구는 다음의 기준에 따른 개수 이상을 설치해야 한다. 2.1.2.1 층마다 설치하되, 숙박시설ㆍ노유자시설 및 의료시설로 사용되는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500 ㎡마다, 위락시설ㆍ문화집회 및 운동시설ㆍ판매시설로 사용되는 층 또는 복합용도의 층(하나의 층이 영 별표 2 제1호 내지 제4호 또는 제8호 내지 제18호 중 2 이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을 말한다)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800 ㎡마다, 계단실형 아파트에 있어서는 각 세대마다, 그 밖의 용도의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1,000 ㎡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2.1.2.2 2.1.2.1에 따라 설치한 피난기구 외에 숙박시설(휴양콘도미니엄을 제외한다)의 경우에는 추가로 객실마다 완강기 또는 2 이상의 간이완강기를 설치할 것 2.1.2.3 2.1.2.1에 따라 설치한 피난기구 외에 공동주택(「공동주택관리법」제2조제1항제2호 가목부터 라목까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에 한한다)의 경우에는 하나의 관리주체가 관리하는 공동주택 구역마다 공기안전매트 1개 이상을 추가로 설치할 것. 다만, 옥상으로 피난이 가능하거나 인접세대로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1.2.4 2.1.2.1에 따라 설치한 피난기구 외에 4층 이상의 층에 설치된 노유자시설 중 장애인 관련 시설로서 주된 사용자 중 스스로 피난이 불가한 자가 있는 경우에는 층마다 구조대를 1개 이상 추가로 설치할 것 |
2.2 설치제외
2.2.1 영 별표 5 제14호 피난구조설비의 설치면제 요건의 규정에 따라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는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2.1.2.2에 따라 숙박시설(휴양콘도미니엄을 제외한다)에 설치되는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2.2.1.1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층 2.2.1.1.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어야 할 것 2.2.1.1.2 실내의 면하는 부분의 마감이 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되어 있고 방화구획이 「건축법 시행령」 제46조의 규정에 적합하게 구획되어 있어야 할 것 2.2.1.1.3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직접 복도로 쉽게 통할 수 있어야 할 것 2.2.1.1.4 복도에 2 이상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이 「건축법 시행령」 제35조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 2.2.1.1.5 복도의 어느 부분에서도 2 이상의 방향으로 각각 다른 계단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할 것 2.2.1.2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특정소방대상물 중 그 옥상의 직하층 또는 최상층(문화 및 집회시설, 운동시설 또는 판매시설을 제외한다) 2.2.1.2.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어야 할 것 2.2.1.2.2 옥상의 면적이 1,500 ㎡ 이상이어야 할 것 2.2.1.2.3 옥상으로 쉽게 통할 수 있는 창 또는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 2.2.1.2.4 옥상이 소방사다리차가 쉽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폭 6 m 이상의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또는 공지(공원 또는 광장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 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거나 옥상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2 이상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이 「건축법 시행령」 제35조의 규정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 2.2.1.3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4층 이하이며 소방사다리차가 쉽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 또는 공지에 면하는 부분에 영 제2조제1호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한 개구부가 2 이상 설치되어 있는 층(문화집회 및 운동시설ㆍ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또는 노유자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으로서 그 층의 바닥면적이 1,000 ㎡ 이상인 것을 제외한다) 2.2.1.4 갓복도식 아파트 또는 「건축법 시행령」제46조제5항에 해당하는 구조 또는 시설을 설치하여 인접(수평 또는 수직)세대로 피난할 수 있는 아파트 2.2.1.5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서 거실의 각 부분으로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학교(강의실 용도로 사용되는 층에 한한다) 2.2.1.6 무인공장 또는 자동창고로서 사람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관리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출입하는 장소를 포함한다) 2.2.1.7 건축물의 옥상부분으로서 거실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9호에 해당하여 층수로 산정된 층으로 사람이 근무하거나 거주하지 않는 장소 영 별표 5 제14호 피난구조설비의 설치면제 요건의 규정에 따라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는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2.1.2.2에 따라 숙박시설(휴양콘도미니엄을 제외한다)에 설치되는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2.2.1.1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층 2.2.1.1.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어야 할 것 2.2.1.1.2 실내의 면하는 부분의 마감이 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되어 있고 방화구획이 「건축법 시행령」 제46조의 규정에 적합하게 구획되어 있어야 할 것 2.2.1.1.3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직접 복도로 쉽게 통할 수 있어야 할 것 2.2.1.1.4 복도에 2 이상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이 「건축법 시행령」 제35조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 2.2.1.1.5 복도의 어느 부분에서도 2 이상의 방향으로 각각 다른 계단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할 것 2.2.1.2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특정소방대상물 중 그 옥상의 직하층 또는 최상층(문화 및 집회시설, 운동시설 또는 판매시설을 제외한다) 2.2.1.2.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어야 할 것 2.2.1.2.2 옥상의 면적이 1,500 ㎡ 이상이어야 할 것 2.2.1.2.3 옥상으로 쉽게 통할 수 있는 창 또는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 2.2.1.2.4 옥상이 소방사다리차가 쉽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폭 6 m 이상의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또는 공지(공원 또는 광장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 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거나 옥상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2 이상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이 「건축법 시행령」 제35조의 규정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 2.2.1.3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4층 이하이며 소방사다리차가 쉽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 또는 공지에 면하는 부분에 영 제2조제1호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한 개구부가 2 이상 설치되어 있는 층(문화집회 및 운동시설ㆍ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또는 노유자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으로서 그 층의 바닥면적이 1,000 ㎡ 이상인 것을 제외한다) 2.2.1.4 갓복도식 아파트 또는 「건축법 시행령」제46조제5항에 해당하는 구조 또는 시설을 설치하여 인접(수평 또는 수직)세대로 피난할 수 있는 아파트 2.2.1.5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서 거실의 각 부분으로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학교(강의실 용도로 사용되는 층에 한한다) 2.2.1.6 무인공장 또는 자동창고로서 사람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관리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출입하는 장소를 포함한다) 2.2.1.7 건축물의 옥상부분으로서 거실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9호에 해당하여 층수로 산정된 층으로 사람이 근무하거나 거주하지 않는 장소 |
요약
- 완강기는 특정소방대상물의 피난층, 지상 1층, 2층, 11층이상을 제외한 3~10층에 층마다 1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 소방시설이다. (가스시설, 터널, 지하구 제외)
- 아파트등은 각 세대마다 1 개 이상씩 설치한다.(완강기 포함 피난기구) - 갓복도식 아파트는 제외
- 상황에 맞게 완강기 대신 피난사다리, 구조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 숙박시설의 경우 층별 피난기구 1개이상 외에 객실마다 완강기를 1개씩 더 설치해야 한다.
- 다중이용업소에 해당할 경우 (4층 이하 영업장) 비상구에 적합한 피난기구(발코니 또는 부속실)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데 보통 완강기를 설치한다.
관련법규
피난기구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301)(소방청고시)(제2022-51호)(20221201)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301)(소방청공고)(제2022-228호)(20221201)
[별표 1] 소방시설(제3조 관련)(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특정소방대상물(제5조 관련)(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ㆍ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제11조 관련)(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안전시설등의 설치ㆍ유지 기준(제9조 관련)(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소방훈련 개정사항 정리/훈련방법/제출기간/서식/ (3) | 2023.04.09 |
---|---|
소방법 관계인이란? 관계인의 법적의무와 용어 정리 (2) | 2023.04.05 |
위험물안전관리자 선임신고 방법/자격/벌금/서식/법규 정리 (2) | 2023.04.03 |
23년 소방시설 자체점검 개정사항 정리/기한/연기/벌금/서식 (1) | 2023.03.31 |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신고 방법/절차/서류/자격/벌금/서식/법규 등 총정리 (3) | 2023.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