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53

PBR 뜻 기업의 가치를 분석할 때 per과 함께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용어 중의 하나인 pb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BR은 Price Book-value Ratio로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것으로, 기업 장부상의 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쓰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가(price) / 주당순자산(bps) 주가 수익비율(PER)이 기업의 수익성만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라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기업의 재무내용과 비교해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입니다. 따라서 PBR이 높다는 것은 회사의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것이고, PBR이 낮다는 것은 회사의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것입니다. PBR은 흔히 청산가치로 표현하는데, PBR이 1이면 주가와.. 2024. 2. 17.
per 뜻 경제신문이나 주식투자를 처음 하게 되면 per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per은 기업의 가치를 분석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용어 중의 하나입니다. per은 Price Earning Ratio로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합니다. per = 주가(price) / 주당순이익(eps)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이익이 1,000원이라면 per은 10이 됩니다. (10,000/1,000 = 10) 이 종목에 투자하면 대략 10년 정도 걸려 원금을 회수하고 11년째부터는 공짜수익이 생겨난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회사의 per이 2라면 10,000원 짜리 주식의 주당이익이 5000원이나 된다는 얘기로, 주식을 사놓고 2년만 기다리면 원금회수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10,000 / 5000 = 2) 본전 찾는 데 .. 2024. 2. 15.
하워드 막스 투자 명언 모음 하워드 막스는 누구인가? 하워드 막스는 미국의 투자자이자 작가이다. 전 세계 부실 증권의 최대투자자인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공동 창립자이자 공동회장이다. 2022년 순자산 22억 달러로 막스는 포브스 억만장자 목록에서 1365위를 차지했다. 워런버핏이 인정하고 전략을 배우는 투자자 중에 한 명이다. 그는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투자자들은 각자의 상황에 따라 투자 전략을 세우고, 돈을 잃을 위험을 더 걱정하는지, 아니면 기회를 놓칠 위험을 더 걱정하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투자자들이 이익을 통해 얻는 이익보다 손실이 더 큰 해를 끼친다는 믿음으로 인해 강세장에서는 평균 수익률을 얻고 약세장에서는 손실을 최소화하기를 희망한다. 막스는 경기 침체기에 투자할 수 있는 현금을 확보.. 2024. 2. 15.
파이프라인 뜻 파이프라인이란? 파이프라인(pipeline)이란 석유나 가스 같은 에너지원을 수송하기 위해 제작된 기다란 관을 말합니다. 본업 외에 별도로 힘들이지 않고 벌어들이는 자산소득, 노동 대신 부동산 월세, 주식 배당금, 채권 이자, 저작권, 인세 등으로 벌어들이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넓게는 노동을 통한 부업, 투잡의 범위에 포함된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파이프라인은 코로나 이후로 물가가 급격히 오르면서 비싼 집값과 생활품등으로 인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시간과 돈을 맞교환하여 물통을 나르고 돈을 받는 직장 수입만으로는 시간적,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삶을 보장받을 수 없습니다. 늘 그 일에 얽매여 자신의 모든 것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입니다.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나면 그것은 영구적인 수입을 안겨줄 것입니다. 노.. 2024. 2. 12.
경제신문 장점 5가지 세계 최고 투자자 워런버핏이 13살 때부터 지금까지 매일 지켜온 단 한 가지 습관은 무엇일까요? 바로 신문 읽기입니다. 그는 별명이 '신문 중독자'로 불리고 과거 63개의 신문사를 인수할 정도로 신문을 신봉했습니다. 그는 아흔이 넘은 지금도 매일 6개의 일간신문을 읽으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이 습관이 50년 이상 쌓여 지금의 버핏을 만들었습니다. 정주영 회장은 신문대학을 나왔다고 합니다. 신문은 이 세상 가장 훌륭한 대학이자 선생님입니다. 부자와 거물 투자자들은 신문에서 사업과 투자의 기회를 찾고 아이디어를 실천합니다. 바로 이렇게 중요한 신문 읽기의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신문 장점 내가 약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최신 트렌드를 마케팅, 사업, 투자, 취직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나.. 2023. 12. 2.
생산재, 자본재, 소비재, 재화 뜻 소비재(Consumption goods)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는 일상생활에서 직접 소비하는 재화 생산재(Producer's goods) 소비재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재화. 넓은 의미로 토지를 포함하며 나아가 노동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재화(財貨) : 대가를 주고 얻을 수 있는 물질로서, 경제학에서 사용 또는 소비 등을 통해 사람들의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가진 모든 것을 의미한다. 자본재(Capital goods) 부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지 이외의 재화이다. 인간에 의해 생산된 수단 내지 중간생산물로써 광의의 생산재에서 토지와 노동을 제외한 것이다. 장기에 걸쳐 사용될 수 있냐에 따라 유동자본재와 고정자본재로 구분된다. 유동자본재는 원료, 재료 등이며 고정자본재는 기계, .. 2023.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