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식 호재 악재 종류

by 수불석권 2024. 2. 26.

주식투자를 처음 하게 되면 기업공시, 경제신문, 증권리포트, 유튜브 등에서 정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이런 수많은 정보들에서 호재와 악재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호재와 악재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호재성 정보와 악재성정보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호재성 정보

  • 영업실적 개선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경우.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이 30%이상 증가할 때는 반드시 공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영업환경 개선

예를 들면 원재료의 가격이 하락하거나 수출단가가 상승하는 경우 그리고 수출기업에 있어서 환율이 상승하는 등의 경우입니다.

  •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

흑자전환, 부채의 출자전환 또는 관리종목 탈출 등의 경우입니다.

  • 신약개발, 신소재 개발, 신기술 개발, 특허나 영업권의 취득

주가 상승의 대형호재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새로운 사업에 진출
  • 유전, 가스, 기타 자원개발 참여

원자재 값이 급등하면 호재로, 급락하면 악재로 작용합니다.

  • 무상증자, 유상증자

큰 폭의 무상증자만 호재로 작용하며, 큰 폭의 유상증자는 오히려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액면분할
  • M&A 및 경영권 분쟁
  • 대주주 및 임직원의 주식 매수

특히 특정 기간에 2인 이상의 임원이 매수하는 경우에는 실적호전 또는 호재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과거 통계를 보면 자사주를 매입한 회사의 주가는 자사주 매입을 공시한 후 연간 15%~20% 상승했고 시장평균 상승률보다 대체로 상승폭이 컸습니다.

  • 자산 재평가

자산 재평가를 실시하면 PBR(주가순자산비율)이 낮아져 저평가 매력이 생깁니다.

  • 외자유치 성공
  • 유능한 CEO 영입
  • 경쟁사에 대한 악재 발생
  • 외국인, 기관, 큰손의 매집
  • 증권회사 애널리스트의 매수 추천

 

악재성 정보

  • 매출액 또는 영업이익 감소
  • 영업환경 악화
  • 자본금 감소
  • 특허분쟁, 덤핑관세, 하자 등 대형 손해배상 발생과 피소
  • 동종업계 경쟁격화와 출혈경쟁
  • 대주주 및 임직원의 주식 매도

특히 특정 기간에 2인 이상의 임원이 매도하는 경우는 실적악화 또는 악재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유능한 CEO의 퇴진
  • 노사분규 발생
  • 대주주 및 임직원의 대규모 회사재산 횡령
  • 외국인, 기관, 큰손의 주식 매도
  • 증권회사 애널리스트들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해 매수등급을 하향 조정하는 경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x 비트코인 2배 레버리지 ETF  (1) 2024.03.06
Biti 비트코인 인버스 ETF  (0) 2024.03.01
깨진 유리창 이론 뜻  (0) 2024.02.23
EV/EBITDA 뜻  (0) 2024.02.23
주가 전망 예측방법  (0) 2024.02.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