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미국채권 투자방법과 채권 뜻 개념

by 수불석권 2023. 4. 4.

목차

1. 채권이란?

2. 경기변화에 따른 채권 가격 변화 예시 

3. 미국채권 투자방법

 

1969년 발행된 미국 1년 만기 국채

 

▣ 채권(Fixed Income)이란?

채권(Fixed Income)이란 채무증서를 고정적인 수익을 제공해 주며 시장에서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증권으로 만든 것입니다. 

쉽게 말해 투자자가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대출해주는것입니다.

채권에 적혀 있는 핵심 내용은 우리가 흔히 쓰는 차용증과 크게 다를 게 없습니다. 채권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10만원을 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1년 뒤 원금 10만원과 이자 5천원을 합쳐서 총 10만5천원을 돌려드리겠습니다.”

 

채권의 발행자는 돈을 빌리는 사람(채무자)이고 투자자는 빌려주는 사람(채권자)입니다. 

돈을 빌려준 투자자들은 상환을 기대하고, 그들은 그들 돈의 사용과 그들이 대출해줄 때 감수하는 위험에 대해 보상을 받기를 기대합니다. 

채권투자에서 우리가 말하는'투자수익률', '채권가격'이란 내가 산 채권에 찍힌 이자수익률이나 액면가와는 다릅니다. 채권의 투자수익률은 매입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을 뜻하며, 채권가격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의 매매가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장에서 유통되는 채권의 가격과 투자수익률은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합니다.

 

시장에서 이미 유통되고 있는 채권은 만기까지 받을 수 있는 정기적인 이자수익(쿠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결국 시장에서 채권을 싸게 살수록 내 투자수익률은 높아집니다.  채권가격은 다른 자산들과 같이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그리고 채권 가격의 수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미 연준이 정하는 기준금리입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지금 매매되는 채권의 투자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셈이니 채권투자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채권가격도 오릅니다. 반대로 금리가 오르면 앞으로 유통될 채권 상품은 높아진 시장금리를 반영해 더 높은 쿠폰으로 발행될 것이기 때문에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고 있는 채권 가격은 떨어집니다. 채권가격과 금리가 반대로 움직이는 이유입니다.

 

 

채권은 꾸준한 현금 수익을 제공하고 주식보다 변동성이 낮은 꾸준한 수익 흐름을 제공합니다. 투자자들의 보상인 대출 이자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쿠폰의 형태를 취합니다.

 

채권의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합니다. 만약 한 채권의 5% 쿠폰이 발행 당시 투자자에게 완벽하게 보상된다고 상상해 보세요. 투자자는 처음에 빌려준 100$에 대해 연간 5%를 받습니다. 그러나 채권이 발행된 다음 해에 인플레이션이 예상치 않게 2% 상승하면 동일 회사가 7%로 거의 동일한 채권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작년의 5% 쿠폰이 있는 채권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이자가  5%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채권의 단점을 반영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시장가격이며, 이 예에서는 가격이 98$로 내려갑니다.

여기서 핵심은 채권의 이자는 고정되어 있지만 시장과 포트폴리오에서 채권의 가치는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채권 이자와 현재 시장 가격의 관계는 수익률에 반영됩니다. 우리의 예에서 발행 당시 5% 이자를 지불하는 채권의 수익률도 5%였습니다. 그러나 채권의 시가가 100$에서 98$로 떨어지면서 채권 수익률은 상승했습니다. 우리는 5달러 쿠폰(이자)이 새로운 98달러 가치의 5% 이상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채권의 수익률은 채권의 현재 시장 가격과 비교하여  쿠폰 지급의 가치를 표현한다는 것입니다. 채권의 시장가격이 하락하면 수익률은 상승하고 수익률이 하락하면 시장가격은 상승합니다.

 

경기변화에 따른 채권 가격 변화 예시 

  • 증시하락 → 안전자산 선호 심리 발동 → 재무부 채권으로 자금 이동 → 채권 가격 상승
  • 유동성 증가 → 인플레이션 → 시장금리 상승(미국 10년 국채 수익률 상승) → 채권 이자 및 원금 가치 하락 → 채권 가격 하락

미국 장기 국채 ETF : TLT 5년 가격 변화

ex) 2020년 3월 코로나 폭락 - 미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정책과 대량 국채매입으로 금리가 하락했고 채권 가격도 같이 올라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주식시장이 불안해지면 더 안정적인 자산인 채권시장으로 돈이 이동하고 채권가격은 상승합니다.역사적으로 주식이 하락하면 채권은 종종 상승합니다.

 

 

채권에 투자하지 않더라도 채권시장은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식시장보다 훨씬 더 큰 자금이 움직이는 채권시장의 자금흐름을 볼 줄 알아야 시장 사이클뿐 아니라 미국 주식시장도 완벽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0년 말 기준 글로벌 주식시장 규모는 105조 달러인데 비해 채권시장 규모는 123.5조 달러입니다. 미국의 경우 주식시장 규모는 40.7조 달러, 채권시장 규모는 47.2조 달러입니다.

 

 

채권투자는 주식투자보다 더 간단합니다. 금리가 하락 혹은 상승함에 따라 매수와 매도 결정을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금리는 굳이 채권투자를 하지 않아도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므로 지금이 금리 하락기인지 상승기인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미국채권 투자방법

 

1. 미국 재무성홈페이지  들어가서 미국채권 직접 매수(http://www.treasurydirect.gov/)

미국 계좌를 만들어서 매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이 구매하기가 어렵습니다.

미국재무성 사이트 장기국채

 

2. 증권사 통해 매수

증권사의 MTS, HTS를 통해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해외채권매매에 들어가면 만기가 있는 미국 국채들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채권매매가능시간은 9시부터 15시까지입니다.

 

 

3. 해외주식 계좌에서 채권ETF(상장지수펀드) 매수(추천)

제일 간단하게 매매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해외주식계좌에서 해당되는 ETF를 검색하여 주식매수와 같은 방법으로 매수하시면 됩니다. 채권 ETF의 장점은 유동성이 뛰어나고 여러 국채들에 분산투자가 되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매매가능시간은 미국주식거래가능시간과 동일합니다.

 

* 참고사이트 : ETF닷컴-fixed income etf 메뉴(https://www.etf.com/channels/fixed-income-etfs)

582개의 채권 ETF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F에 대한 좋은 정보들과 팁들이 많은 사이트입니다. 

 

4. 국내주식 계좌에서 한국에 상장된 미국 국채 ETF을 매수한다.

ex) TIGER 미국채 10년 선물(305080)

 이름에만 '선물'이 들어가 있을 뿐 위험도가 매우 낮고  미국 국채 가격의 변동을 잘 추적하는 상품입니다. 원자재 선물 등과 달리 국채 선물은 거래량이 많고, 또 선물투자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적어 위험이 낮은 편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상장지수펀드'라고 검색하면 여러 ETF상품과 함께 국내에 상장된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같이 읽으면 도움되는 내용

 

2023.03.31 - [투자] - 미국 국채와 미국 채권 ETF의 종류

 

미국 국채와 미국 채권 ETF의 종류

미국 국채와 미국 채권 ETF의 종류 목차 1. 미국 국채 종류 2. 미국 채권 ETF 구분 3. 전략별 채권 ETF종류 미국 국채 종류 구분 만기 설명 Treasury Bil(T-Bill) 만기 1년 이하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

whitetigerb1.tistory.com

 

댓글